콘텐츠 빅블러 시대

2025년 04월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출처: 넷플릭스)
전국을 눈물바다로 만든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글로벌 넷플릭스 탑 10에 오르며 아시아, 남미 등의 국가에서 1위를 기록하며 인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폭싹 속았수다는 보통의 넷플릭스 콘텐츠와 다르게 한 번에 전체 회차를 공개하는 것이 아닌 4개의 막으로 나눠 공개한 점이 이례적이었는데요.



일주일 간격으로 콘텐츠가 공개되었음에도 탄탄한 스토리와 연출, 화려한 배우 라인업과 연기력 등의 여러가지 요소들로 작품성을 인정받으며 전세계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었습니다.
폭싹 속았수다 드라마의 화제성을 증폭시키는데 큰 영향을 준 것이 또 있는데요. 바로 시청자들의 공감을 부르는 넷플릭스의 인상적인 마케팅 전략이 있었습니다.
온라인 플랫폼의 경계를 허문 넷플릭스
netflix_instagram_event
폭싹 속았수다 참여형 마케팅 - 웃픈 결혼사진 대회 (출처: 넷플릭스 공식 인스타그램)
넷플릭스 이벤트 당선작 발표
넷플릭스 이벤트 당선작 발표
(출처: 넷플릭스 인스타그램)
먼저 넷플릭스는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시청자가 드라마의 스토리를 자연스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드라마 속 주인공인 관식&애순 커플을 연상시키는 웃픈 결혼 사진 대회 이벤트를 진행했습니다.
이 이벤트는 드라마가 공개된 지 3일만에 진행되었음에도 약 9만 개의 좋아요와 300개가 넘는 댓글을 기록했는데요!
극중 주인공과 동시대를 살았던 4050대 시청자들의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동시에 자녀 세대인 2030대에게도 부모님의 젊은 시절을 꺼내 보며 함께 참여하는 이벤트가 되어 많은 시청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넷플릭스 유튜브 공식 채널
넷플릭스 코리아 유튜브 채널 (출처: 유튜브)
넷플릭스의 마케팅 방법에서 빼놓을 수 없는게 또 있는데요! 바로 공식 유튜브 채널입니다.
넷플릭스 코리아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넷플릭스 콘텐츠가 공개될 때마다 콘텐츠의 아이덴티티를 잘 보여주는 영상을 통해 시청자들과 소통하고 있는데요.





4개의 막으로 순차적으로 공개되었던 폭싹 속았수다도 다음 회차들이 공개되기 전, 그 사이에도 과몰입을 이어갈 수 있도록 유튜브에서만 볼 수 있는 다양한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폭싹 속았수다 유튜브 선공개, 인터뷰 콘텐츠
콘텐츠 마케팅 성공 사례 (출처: 넷플릭스 코리아 유튜브)
폭싹 속았수다 유튜브 선공개, 인터뷰 콘텐츠
폭싹 속았수다 유튜브 선공개, 인터뷰 콘텐츠
(출처: 넷플릭스 코리아 유튜브)
600억이 넘는 제작 비용과 긴 제작 기간 등의 수고가 들어간 드라마인만큼 다양한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었는데요.
출연진들을 통해 직접 듣는 비하인드 스토리와 인터뷰 영상, 주인공들과 함께 하이라이트 장면을 시청하는 리액션 영상들이 시청자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었습니다.
제주 할망의 폭싹 속았수다 리액션 영상
제주 할망의 폭싹 속았수다 리액션 영상
(출처: 넷플릭스 유튜브 채널)
특히, 폭싹 속았수다만의 아이덴티티를 뾰족하게 담아내며 시청자들에게 뜨거운 반응을 얻으며 화제가 되었던 리액션 영상이 있었는데요!

바로, 드라마의 배경이 되는 제주도라는 점에 집중해 실제 제주도 화가 할머님들의 리액션을 담은 영상이었습니다.
1960년대를 배경으로 두 주인공 애순과 관식의 어린 시절이 나오는 드라마를 보며 비슷한 세월을 공유하는 할머님들의 거침없고 솔직한 리액션 영상은 업로드 3일만에 조회수 30만회 이상을 기록하고, X(구 트위터)에서는 약 2천건 이상이 공유가 되는 등의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콘텐츠 시장의 빅블러 현상
솔로지옥4 인터뷰 영상, 미공개 영상
솔로지옥4 인터뷰 영상 (출처: 넷플릭스 코리아 유튜브)
솔로지옥4 인터뷰 영상, 미공개 영상
솔로지옥4 미공개 영상 (출처: 넷플릭스 코리아 유튜브)
넷플릭스는 이전에도 흑백요리사, 솔로지옥 같은 프로그램은 본편을 넷플릭스에서 제공하면서, 유튜브에는 미공개 영상을 공개해 더 많은 시청자를 유입시키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는데요.
이렇게 하나의 프로그램이 다양한 플랫폼을 넘나들며 소비되는 형태로 나타나는 콘텐츠 시장의 빅블러 현상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빅블러 현상이란 산업 간의 경계가 흐려지는 현상을 뜻하는데요. 예전 아보카도자이언트 뉴스레터에서도 소개한 적이 있었죠!
모호해지는 TV와 유튜브의 경계
앞선 넷플릭스의 예시처럼 콘텐츠 시장에서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TV, 유튜브, OTT 등 다양한 플랫폼을 넘나들며 소비되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콘텐츠 시장에서의 빅블러 현상은 단순히 같은 영상을 여러 플랫폼에 올리는 게 아니라, 각 플랫폼에 맞춰 기획과 편집을 달리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나영석 PD의 채널 십오야
나영석 PD의 채널 십오야 (출처: 채널십오야 유튜브)
콘텐츠 빅블러 마케팅 사례
콘텐츠 빅블러 마케팅 사례 (출처: 채널십오야 유튜브)
콘텐츠 시장에서 플랫폼간의 경계를 허물기 시작한 선두주자 중 하나가 바로 나영석PD입니다. 유튜브 채널인 채널 십오야를 개설한 이후 나영석 PD는 유튜브와 TV, OTT를 넘나들며 프로그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9년 신서유기 외전: 삼시 세 끼-아일랜드 간 세끼는 TV에서는 5분 정도의 짧은 예고편 성격의 영상을 공개하고, 반대로 유튜브 채널에서 긴 길이의 본편 형식의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더 상세한 내용들이 궁금할 경우, 유튜브 채널로 와야 하는 구조를 만든 것이죠!
이후에도 뿅뿅 지구오락실이나 삼시세끼, 콩콩밥밥과 같은 프로그램에서도 플랫폼 간의 경계를 허무는 모습을 보여줬는데요.
기존과 같이 선공개, 티저, 예고, 하이라이트를 유튜브용으로 재편집하는 것은 기본이고, TV 본방 후에 출연자들이 모여 지락실 2 4화 리뷰 등 라이브 방송이나 같이 방송을 시청하는 리액션 영상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유튜브에서 TV로 진출한 콘텐츠 사례
유튜브에서 TV로 진출한 콘텐츠 사례
(출처: 엠드로메다 유튜브 채널)
youtube_tv_bigblur_2
청소광 브라이언 (출처 : 엠드로메다 유튜브 채널)
TV에서 유튜브로 넘어왔던 앞선 사례와 반대로 유튜브에서 TV로 진출했던 사례도 있습니다. 바로 작년에 많은 사랑을 받았던 웹예능 청소광 브라이언 인데요! MBC에서 운영하는 엠드로메다 채널에서 시작한 청소광 브라이언은 공개 이후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며 뜨거운 반응을 얻었습니다.
인기에 힘입어 게스트로 유튜버 곽튜브가 출연한 회차는 MBC의 예능 프로그램인 전지적 참견 시점과 함께 촬영되어, 같은 촬영이지만 TV방송과 유튜브 채널 각각의 버전으로 편집되어 공개되기도 했습니다.
웹예능으로 시작해 인기를 얻은 후, TV 정규 프로그램으로 진출하게 된 것인데요. 유튜브가 일종의 파일럿 프로그램 역할을 하기도 하는 셈이죠!
앞으로 TV, OTT, 유튜브의 경계를 넘나드는 콘텐츠 시장에서의 빅블러 현상은 더욱 가속화될 것입니다.

이런 흐름에 맞춰 유튜브나 OTT광고를 기획할 때에도 각 플랫폼의 차별점을 잘 이해하고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 전략을 짜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콘텐츠 시장의 빅블러 현상을 잘 이해하고 활용한다면 시청자들의 공감과 참여도를 더욱 높이는 좋은 광고를 만들 수 있겠죠?!
아보카도자이언트 뉴스레터를
구독하시려면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시몬스 팝업스토어 마케팅 사례
봄 시즈널 마케팅 최신 사례